목차
태극기
우리나라 국기인 태극기는 흰색 바탕에 네 모서리에는 건곤감리 4괘, 가운데에는 태극 문양이 있습니다
태극기의 흰색 바탕은 밝음과 순수, 전통적으로 평화를 사랑하는 우리의 민족성을 의미하고 있습니다
가운데의 태극 문양은 파란색인 음과 빨간색인 양으로, 음과 양이 조화를 이루고 음양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우주 만물이 생성되고 발전한다는 대자연의 진리를 의미하고 있습니다
모서리에 있는 건곤감리 4괘 중 왼쪽 위의 건괘는 하늘, 동쪽, 봄을 의미합니다
오른쪽 아래의 곤괘는 땅, 서쪽, 여름을 의미합니다
오른쪽 위의 감괘는 물, 북쪽, 겨울을 의미합니다
왼쪽 아래의 이괘는 불, 남쪽, 가을을 의미하고 있습니다
건곤감리 4괘는 음과 양이 서로 변화하면서 발전하는 모습을 의미합니다
태극기 그리는 방법
첫 번째, 흰 바탕의 종이 위에 가로와 세로의 비율이 3대 2가 되도록 직사각형을 그립니다
두 번째, 양 끝의 위아래 꼭짓점이 만나 대각선이 되도록 대각선 두 개를 그려줍니다
세 번째, 꼭짓점이 만나는 중심으로 직사각형 가로 길이의 1/3이 지름이 되도록 원을 그립니다
네 번째, 그려준 원지름의 1/2을 지름으로 하는 반원 두 개를 그려줍니다
다섯 번째, 원을 중심으로 위는 빨간색, 아래는 파란색으로 하여 태극 문양을 완성합니다
여섯 번째, 건곤감리 4괘는 태극 문양과 태극 문양 지름의 1/4길이 만큼의 거리를 두고
기존에 대각선과 직각이 되도록 그려 줍니다
태극기를 다는 날은?
태극기는 국경일이나 주요 기념일, 정부 지정일, 국장 기간, 국장만일 및 정부 지정일에 답니다
3·1절 - 3월 1일로 한민족이 일본의 식민 통치에 항거하고, 독립선언서를 발표하여 한국의 독립 의사를
세계만방에 알린 날을 기념하는 날로 국경일입니다
현충일 - 6월 6일로 국토방위에 목숨을 바친 이들의 충성을 기념하는 날로 조의를 표하는 날입니다
제헌절 - 7월 17일로 1948년 7월 17일 대한민국이 헌법 공포를 기념하는 국경일입니다
광복절 - 8월 15일로 1945년 8월 15일 우리나라가 일본으로부터 광복된 것을 기념하고,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수립을 경축하는 날로 기념일 겸 국경일입니다
국군의 날 - 10월 1일로 한국군의 위용과 전투력을 국내외에 과시하고
국군 장병의 사기를 높이기 위하여 지정된 기념일입니다
개천절 - 10월 3일로 우리 민족 최초 국가인 국조선 건국을 기념하기 위해 제정된 국경일로 기념일 겸 국경일입니다
한글날 - 10월 9일로 훈민정음 곧 오늘의 한글을 창제해서 세상에 펴낸 것을 기념하고, 우리 글자 한글의
우수성을 기리기 위한 국경일입니다
그리고 국경일 등이 아니어도 태극기는 매일 달 수 있습니다
태극기를 다는 방법
태극기를 달 때는 모두 밖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기준으로 단독주택의 경우 대문의 왼쪽이나 중앙에,
공동주택의 경우 세대 난간의 왼쪽이나 중앙에, 건물 지상 중앙이나 왼쪽에, 옥상 차양 시설 위의 중앙에,
출입구 위 벽면 중앙에 달도록 합니다
차량에 달 경우는 전면에서 보았을 때 왼쪽에 달도록 합니다
국경일이나 기념일(3·1절, 제헌절, 광복절, 개천절, 국군의 날, 한글날 및 정부 지정일)에는
깃봉과 깃 면의 사이를 띄우지 않고 달고
조의를 표하는 날(현충일, 국장 기간, 국민장일 및 정부 지정일)에는
깃 면의 세로만큼 깃봉에서 내려 달면 됩니다
완전한 조기를 달 수 없는 경우에는 바닥 등에 닿지 않도록 최대한 내려서 달면 됩니다
태극기를 다는 시간은 계절 상관없이 오전 7시경 달고, 내리는 시간은 3월에서 10월은 오후 6시,
11월에서 2월은 오후 5시입니다
단, 심한 비바람 등으로 국기가 훼손되어 그 존엄성이 유지되기 어렵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달지 않습니다
태극기 보관 방법과 세탁법 그리고 폐기법
태극기를 보관할 때는 건괘 모서리와 감괘 모서리를 잘 맞추어 국기함의 크기에 맞춰 접어
국기함에 넣어서 보관하시면 됩니다
만약 태극기가 더러워졌다면 미지근한 물에 중성세제를 풀어 조물조물하여서 세탁하시면 됩니다
보관해 놓은 태극기가 구겨져 있다면 낮은 온도로 다림질하시면 됩니다
훼손되었거나 오래된 국기는 그냥 버리시지 말고 가까운 주민센터나 민원실 등에 있는
수거함을 찾아서 버리시면 됩니다
'건강,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흰 머리와 새치가 나는 이유와 예방법 (0) | 2023.09.23 |
---|---|
기초 화장품의 종류와 차이, 바르는 순서 (0) | 2023.09.22 |
주종별 궁합이 나쁜 안주와 좋은 안주 (0) | 2023.09.20 |
10월의 제철 음식과 효능에 대해 알아보기 (1) | 2023.09.19 |
9월의 제철음식과 효능에 대해 알아보기 (1) | 2023.09.18 |